마시타 나가모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시타 나가모리는 오와리국 또는 오미국 출신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기며 그의 휘하에서 활약했다. 그는 외교와 내정에 능하여 히데요시에게 고리야마성을 하사받고 5대 장로로 임명되었다. 히데요시 사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반대하여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 가담했지만, 이에야스에게 밀고하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였다. 전투 후 출가하여 사죄했지만 개역되었고, 이후 아들의 반역으로 자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마토국 사람 - 쇼토쿠 태자
쇼토쿠 태자는 일본 아스카 시대의 인물로, 불교 장려, 17조 헌법 제정, 수나라 외교 등 고대 일본 국가 형성에 기여했으며, 여러 일화와 지폐 도안으로 유명하지만, 업적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 야마토국 사람 - 야마다 사부로
야마다 사부로는 도쿄 제국대학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 총장 등을 역임했으며 국제사법 권위자로 한·프랑스 문화 교류에 기여한 일본의 법학자이자 관료이다. - 1545년 출생 - 오쿠보 나가야스
오쿠보 나가야스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다케다 가신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행정 능력을 인정받아 막부 운영에 기여했으나, 말년에 부정 축재 의혹으로 실각하고 가문이 몰락했다. - 1545년 출생 - 야마우치 가즈토요
야마우치 가즈토요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도사국을 얻어 다이묘가 되었고, 고치성을 축조하고 가다랑어 타다키의 유래를 만들었으며 20만 석의 영주가 되었으나 자식 없이 사망했다. - 1615년 사망 - 사나다 노부시게
사나다 노부시게는 센고쿠 시대 말기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활약한 무장으로, 도요토미 가문의 인질, 세키가하라 전투 참전, 오사카 전투에서 용맹을 떨치는 등 '일본 제일의 병사'로 불리며 에도 시대 이후 영웅으로 널리 알려졌다. - 1615년 사망 - 한백겸
한백겸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고증학적 방법론을 통해 조선의 역사와 지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여 실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정여립의 난 연루와 임진왜란 공훈 등의 부침을 겪었으나 《동국지리지》를 저술하여 기자정전 유적을 주장하는 등 후대 실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마시타 나가모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마시타 나가모리 |
일본어 이름 | 増田 長盛 |
출생 | 1545년 |
출생지 | 오와리국 나카시마군 마시타 마을 또는 오미국 아자이군 마시타고 |
사망 | 1615년 6월 23일 |
사망지 | 니자, 사이타마, 안라쿠지 |
묘소 | 헤이린지 (사이타마현니자시) |
가명 | 진자에몬 |
씨족 | 마시타 씨 |
관직 | |
관위 | 종5위하 우에몬쇼죠(右衛門少尉) |
직책 | 고-부교 |
영지 | 고리야마성 성주 (1585년 ~ 1600년) |
가족 관계 | |
부모 | 불명 |
형제 | 마시타 나가토시 |
자녀 | 모리쓰구, 마시타 나가카쓰, 마시타 신베에 |
배우자 | 모리 요시나리의 딸 |
군사 경력 | |
소속 | 오다 씨, 도요토미 씨, 서군 |
주요 전투 | 임진왜란 (1592년-1598년) |
지휘 | 고리야마성 |
기타 | |
주군 | 도요토미 히데요시 → 도요토미 히데요리 |
관련된 장소 | 고리야마성 |
2. 생애
마시타 나가모리는 오와리국 나카시마노코리 마시타무라(현재의 아이치현 이나자와시 마스다정) 또는 오미국 아사이고리 마시타고(현재의 시가현 나가하마시 마스다정)에서 태어났다.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이었던 시절부터 하시바 히데요시(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다.[2][3][4]
1573년, 28세의 나가모리는 나가하마성주 하시바 히데요시에게 200석으로 등용되었다. 히데요시 휘하에서 중국 정벌을 비롯한 많은 전투에 종군했으며, 돗토리성 공략에서는 "진중 만물 상인의 봉행"을 맡았다. 1582년에는 주자로 임명되어 우에스기 가게카츠와의 외교 협상 등을 담당했다.
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 참전하여 전공으로 2만 석을 추가로 받았고, 1585년 종오위하 우에몬노죠에 임명되었다. 조소카베 모토치카가 히데요시에게 항복하자, 나가모리가 조소카베씨의 취차가 되었다는 견해가 있다.[5] 1587년에는 세키토의 봉행이 되었다.
1590년 오다와라 정벌에서는 사토미 요시야스 담당의 신차가 되어, 아와국에서 검지 시행과 지행 앙행장 발급을 실시했다.[6][7] 호조씨가 멸망하자, 시모쓰케·히타치·아와의 다이묘에 대한 도요토미 정권의 취차가 되었다.[8] 이 해, 교토의 산조 대교를 건설했다. 오미국 미즈구치성을 받았고, 1591년 윤정월, 나가쓰카 마사이에와 함께 오미를 검지했다.
1592년부터 시작된 임진왜란에서는 이시다 미쓰나리, 오타니 요시쓰구와 함께 조선으로 건너가 한성에 머무르며, 봉행으로서 점령지 통치와 병참을 담당했고, 벽제관 전투와 행주산성 전투에도 참가했다.
1595년, 도요토미 히데쓰구가 히데요시의 명령으로 할복한 히데쓰구 사건이 일어나자, 나가쓰카 마사이에와 함께 히데요시와의 사이에 대립이 생긴 도요토미 히데쓰구의 노신을 추문하는 등의 일을 했다. 1596년에는 산펠리페호 사건의 처리로 적하 몰수를 위해 도사국에 파견되었다.
히데요시는 내정과 외교 협상에서 두각을 나타낸 나가모리에게 야마토국 고리야마성에 20만 석을 하사했으며, 이시다 미쓰나리, 마에다 겐이, 아사노 나가마사, 나쓰카 마사이에와 함께 5대 봉행에 임명했다.
1598년 히데요시 사후, 나가모리는 이시다 미쓰나리 측에 가담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대항하였으나, 실제로는 이에야스와 내통하여 서군 지휘관들의 회의 내용을 비밀리에 알렸다.[11]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는 참여하지 않고 오사카성을 지켰다. 전투 후 출가하여 사죄했고, 영지를 몰수당하고 고야산에 유폐되었다.
1615년 오사카 전투에서 아들 마시타 모리쓰구가 도요토미 씨 군에 합류하자, 나가모리는 할복을 명받고[1] 71세로 생을 마감했다.[12]
2. 1. 초기 생애와 히데요시 섬김
마시타 나가모리는 오와리국 나카시마노코리 마시타무라 또는 오미국 아사이고리 마시타고에서 태어났다.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이었던 시절부터 하시바 히데요시(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다.[2][3][4]덴쇼 원년(1573년), 28세의 마시타 나가모리는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이었던 나가하마성주 하시바 히데요시(후의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불려가 200석으로 섬겼다.
히데요시의 휘하에서 중국 공략을 비롯한 많은 전투에 종군했으며, 돗토리성 공략에서는 "진중 만물 상인의 봉행"을 명받았다. 덴쇼 10년(1582년)에는 주자로 임명되어 우에스기 가게카츠와의 외교 협상 등을 담당했다.
덴쇼 12년(1584년) 3월,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 종군하여 전공으로 2만 석으로 가증되었고, 이듬해 덴쇼 13년(1585년) 5월, 종오위하 우에몬노죠에 서임되었다. 조소카베 모토치카가 히데요시에게 항복하여 도요토미 정권하의 다이묘가 되자, 나가모리가 조소카베씨의 취차가 되었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5]
덴쇼 15년(1587년), 세키토의 봉행이 되었다.
덴쇼 18년(1590년)의 오다와라 정벌에서는 사토미 요시야스 담당의 신차가 되어, 아와국에서 차출 검지의 시행과 지행 앙행장의 발급을 실시했으며, 후호조씨가 멸망하자, 시모쓰케·히타치·아와의 다이묘에 대한 도요토미 정권의 취차가 되었다.[6][7][8] 이 해, 교토의 산조바시를 놓았다. 오미 미즈구치성을 하사받고, 이듬해 덴쇼 19년 윤정월, 나가쓰카 마사이에와 함께 오미를 검지했다.
분로쿠 원년(1592년)부터의 분로쿠의 역에서는 이시다 미쓰나리, 오타니 요시쓰구와 함께 조선으로 건너가 한성에 주둔하며, 봉행으로서 점령지 통치와 병참에 종사한 외, 벽제관 전투와 행주산성 전투에도 참가했다.
히데요시는 내정과 우에스기 가게카츠와의 외교 협상에서 두각을 나타낸 나가모리에게 야마토국 고리야마성에 20만 석을 하사했으며, 이시다 미쓰나리, 마에다 겐이, 아사노 나가마사, 나쓰카 마사이에와 함께 5대 장로(五奉行, ''고부교'')에 임명했다.
분로쿠 4년(1595년), 도요토미 히데쓰구가 히데요시의 명으로 할복한 히데쓰구 사건이 일어나자, 나가쓰카 마사이에와 함께 히데요시와의 사이에 대립이 생긴 도요토미 히데쓰구의 노신을 추문하는 등의 일을 했다. 분로쿠 5년(1596년)에는 산펠리페호 사건의 처리로 적하 몰수를 위해 도사국에 파견되었다.
2. 2. 도요토미 정권 하에서의 활동
하시바 히데요시가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이었던 시절부터 그를 섬겼다. 히데요시의 지적조사와 같은 내정과 우에스기 가게카츠와의 외교 협상에서 능력을 발휘하여, 히데요시는 그에게 야마토국 고리야마성에 20만 석을 주었다. 이시다 미쓰나리, 마에다 겐이, 아사노 나가마사, 나쓰카 마사이에와 함께 5대 봉행(五奉行)에 임명되었다.[5]1573년, 28세의 마시타 나가모리는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이었던 나가하마성주 하시바 히데요시(후의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200석으로 등용되었다. 나가하마시 에이호정에는 "마시타 나가모리 저택 터" 비석이 있으며, 이곳이 나가하마 시대 나가모리의 거주지였다.[6]
히데요시 휘하에서 주고쿠 정벌을 비롯한 많은 전투에 종군했으며, 돗토리성 공략에서는 "진중 만물 상인의 봉행"을 맡았다. 1582년에는 주자로 임명되어 우에스기 가케카쓰와의 외교 협상 등을 담당했다. 같은 해 요시다 가네미의 일기에 그의 이름이 등장한다.
1584년 3월,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 참전하여 전공으로 2만 석을 추가로 받았고,[7] 이듬해 1585년 5월, 종오위하 우에몬노죠에 임명되었다.[8] 조소카베 모토치카가 히데요시에게 항복하여 도요토미 정권의 다이묘가 되자, 나가모리가 조소카베씨의 취차가 되었다는 견해가 있다.[9]
1587년, 세키토의 봉행이 되었다.[10]
1590년 오다와라 정벌에서는 사토미 요시야스 담당의 신차가 되어, 아와국에서 검지 시행과 지행 앙행장 발급을 실시했으며,[11][12] 호조씨가 멸망하자, 시모쓰케·히타치·아와의 다이묘에 대한 도요토미 정권의 취차가 되었다. 이 해, 교토의 산조 대교를 건설했다. 오미국 미즈구치성을 받았고, 이듬해 1591년 윤정월, 나가쓰카 마사이에와 함께 오미를 검지했다.
1592년부터 시작된 분로쿠의 역에서는 이시다 미쓰나리, 오타니 요시쓰구와 함께 조선으로 건너가 한성에 머무르며, 봉행으로서 점령지 통치와 병참을 담당했고, 벽제관 전투와 행주산성 전투에도 참가했다.
1595년, 도요토미 히데쓰구가 히데요시의 명령으로 할복한 "히데쓰구 사건"이 일어나자, 나가쓰카 마사이에와 함께 히데요시와의 사이에 대립이 생긴 도요토미 히데쓰구의 노신을 추문하는 등의 일을 했다. 1596년에는 산펠리페호 사건의 처리로 적하 몰수를 위해 도사국에 파견되었다. 이전부터 나가모리와 조소카베씨와의 특별한 관계가 있었고, 파견을 계기로 그러한 관계가 깊어졌다고 추정된다.
2. 3. 고리야마 성주 시대
하시바 히데요시(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이었던 시절부터 그를 섬겼다. 히데요시의 지적조사와 같은 내정과 우에스기 가게카츠와의 외교 협상에서 두각을 나타냈기에, 히데요시는 그에게 야마토국 고리야마성에 20만 석을 하사했다. 이시다 미쓰나리, 마에다 게니, 아사노 나가마사, 나츠카 마사이에와 함께 5대 장로(五奉行, Go-Bugyō)에 임명되었다.문록 4년 도요토미 히데나가의 뒤를 이은 도요토미 히데야스가 죽자 6월, 야마토 국 군산성 20만 석의 영지를 하사받았다.[6] 같은 해, 히타치 지방 3천 석을 더 받았고, 기이·와카야마·야마토의 히데요시 직할령 대관을 겸임했다.[7] 히데요시 말년에는 오봉행이 되었다. 게이초 2년에는 다시 아와 국을 방문하여 전면적인 검지를 실시했다.[10]
2. 4. 히데요시 사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의 배신
히데요시가 1598년에 사망한 후, 마시타 나가모리는 이시다 미쓰나리의 군대에 참여하여 오봉행의 일원이었던 모리 데루모토를 지원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맞서 군대를 일으켰다.[11] 그러나 나가모리는 이에야스와 내통하여 사와야마성에서 서군 지휘관들의 회의 내용을 비밀리에 이에야스에게 알렸다.1600년에는 마에다 겐이 등 오봉행 연판으로 이에야스의 악행을 규탄하는 탄핵서를 제출하고, 오대로인 모리 데루모토와 우키타 히데이에를 옹립하여 거병했으며, 서국 대명에게 서군 가담을 요청하는 문서를 보내는 등 활발하게 활동했다. 그런데 7월 12일 이시다 미쓰나리와 오타니 요시쓰구의 음모가 있던 바로 그날, 이에야스에게 즉시 음모의 내용을 밀고했다. 이에야스의 부하 나가이 나오카쓰에게 보낸 밀서는 오타니 요시쓰구가 미노의 다루이에서 병을 핑계로 이틀 정도 머물면서 이시다 미쓰나리와 음모를 꾸몄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앞으로도 수시로 알리겠다고 덧붙인 것으로 보아, 나가모리는 표리부동한 인물이었다고 할 수 있다.
후시미 성 공략에는 직접 참가했고,[11] 중신 후쿠하라 세이자에몬을 시켜 성 안에 있는 갑가중의 배신을 유도하여 함락으로 이끌었다(갑가군지). 오쓰성 전투에는 일문인 마스다 사쿠자에몬을 대신하여 군사를 파견했고, 마스다 군은 오쓰성의 호수 쪽에서 성벽을 넘어 공격했다. 오쓰성 전투에서는 또한, 가신 나카무라 키네로쿠가 적장 아사미 후지에몬과 격투하여 공을 세웠다.
세키가하라 전투에는 참여하지 않고 오사카성에서 요새를 지켰다. 9월 15일에 있었던 관가원 전투에는 참가하지 않고, 모리 데루모토와 함께 오사카 성 수비 부대에 3,000명의 병사를 이끌고 서의 마루에 주둔했다. 전후인 9월 25일, 출가하여 사죄했고, 9월 27일 오사카성 서의 마루에서 명령을 받고 개역되었다. 신변은 고야산에 맡겨졌다. 영지 몰수 외에 금 1900매와 은 5000매를 바쳐 목숨만 건졌다고 한다.[12]
안도 히데오는 나가모리가 미쓰나리 실각 후 100만 석 이상에 해당하는 도요토미씨의 창입지를 일괄 관리했던 점을 지적하며, 나가모리가 이에야스에게 통하지 않고 100만 석 창입지가 가져오는 자금과 인원을 도요토미가와 서군을 위해 사용했다면 관가원 전투의 전황이 서군에게 유리하게 바뀌었을 가능성이 있었다고 하며, 데루모토와 함께 서군 패전의 원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2. 5. 죽음
1615년 오사카의 진에서 나가모리의 아들 마시타 모리쓰구가 도쿠가와 요시나오 휘하에서 봉사하다가 도주하여 도요토미 씨 군에 합류했다. 그 결과 나가모리는 할복 명령을 받았다.[1] 겐와 원년(1615년), 오사카 여름의 진에서 오와리 번주 도쿠가와 요시나오를 섬기던 아들 마시타 모리쓰구가 오와리가를 탈출하여 도요토미 씨에 가담했기 때문이다.[12]나가모리는 7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향년 71세.[12] 묘소는 사이타마현니이자시의 금봉산 헤이린지이다. 처음에는 기사이군 가네시게무라에 있던 헤이린지에 묻혔으나, 마쓰다이라 노부쓰나에 의해 헤이린지가 이전되었을 때, 니이자군 노비토메로 이전된 헤이린지 경내로 옮겨졌다. 메이지 시대에 자손이 묘석을 다시 이전했다.
3. 등장 작품
참조
[1]
서적
Nihonshi yōgoshū B
Yamakawa shuppansha
2000
[2]
문서
稲沢市増田南町の八幡神社に増田長盛邸址の碑が立っている。
[3]
웹사이트
増田長盛(ましたながもり)屋敷跡
https://apec.aichi-c[...]
2024-05-13
[4]
웹사이트
城に見る水口の中世から近世―美濃部氏城館・水口岡山城・水口城―(紀要第22号)
https://www.shiga-bu[...]
2024-05-13
[5]
서적
土佐と南街道
吉川弘文館
2006
[6]
간행물
豊臣期関東における増田長盛の動向
1984
[7]
간행물
里見氏家臣団組織の成立
2010
[8]
서적
天下人の一級史料
柏書房
2009
[9]
서적
関ヶ原合戦と長宗我部氏のカタストロフィ
高志書院
2014
[10]
문서
島津家文書
[11]
문서
重臣・石川民部を陣代として送ったという記録もある。石川の下、福西源次郎・大岡佐左衛門が軍奉行を務めた。
[12]
서적
関ケ原合戦―戦国のいちばん長い日―
中央公論社
198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